K1A2 blog
취소

[선형대수] 행렬식

행렬식 앞에서 배웠던 행렬식에 대해 복습해보자. [A = \begin{bmatrix} a & b c & d \end{bmatrix}] 위 행렬\(A\)가 invertable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ad - bc \neq 0\)이다. 행렬식은 \(det(A) = ad - bc\) 또는 \(\begin{vmatrix} a &...

[선형대수] 행렬변환

Matrix Transformation 행렬변환(matrix transformatioin)은 어떤 행렬을 다른 행렬로 변환하는것을 말한다. [w_{1} = a_{11}x_{1} + a_{12}x_{2} + \cdots + a_{1n}x_{n} w_{2} = a_{21}x_{1} + a_{22}x_{2} + \cdots + a_{2n}x_{n} \v...

[선형대수] 대각행렬, 삼각행렬, 대칭행렬

Diagonal Matrix [\begin{bmatrix} 1 & 0 & 0 0 & 5 & 0 0 & 0 & 1 \end{bmatrix},] Diagonal Matrix(대각행렬)은 main diagonal(주대각)원소 외에 모든 원소가 0인 행렬을 뜻한다. [D = \begin{bmatrix} d_...

[선형대수] 연립일차방정식과 역행렬

inverse matrix와 연립일차방정식 관계 행렬 A가 정방행렬이면서 invertable 하다면 연립방정식 \(Ax=b\)는 \(x = A^{-1}b\)가 성립한다. 예제 [A = \begin{bmatrix} 1 & 2 & 3 0 & 1 & 4 5 & 6 & 0 \end{bmatrix}, x = ...

[선형대수] 기본행렬과 역행렬

Elementary Matrix [\mathit{I} = \begin{bmatrix} 1 & 0 0 & 1 \end{bmatrix} , \mathit{E} = \begin{bmatrix} 1 & 0 0 & 3 \end{bmatrix}] unit matrix(단위 행렬)에서 기본 행...

[선형대수] 역행렬과 행렬 성질

Unit Matrix [\begin{equation} \begin{bmatrix} 1 & 0 0 & 1 \end{bmatrix} \end{equation}] [\begin{equation} \begin{bmatrix} 1 & 0 & 0 0 & 1 & 0...

[선형대수] 가우스 소거법과 연립 일차방정식

Row Echelon Form 예제 [\begin{equation} \begin{bmatrix} 1 & 10 & 2 0 & 1 & 0 0 & 0 & 1 \end{bmatrix} \end{equation}] [\begin{equation} \begin{bmat...

[자료구조] C로 Graph 만들기

Graph? 그래프는 연결된 객체간의 관계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자료구조입니다. 객체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 네트워크, 도로망, 인터넷 등 실생활의 다양한 요소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용어 정리 우선 그래프에서 쓰이는 용어 먼저 정리하겠습니다. 정점(Vertex, V): 데이터가 저장되는 그래프의 기본요소 입니다. 노...

[자료구조] C로 Stack 만들기

Stack? 스택은 문자 그대로 데이터를 쌓는 형식으로 저장하고 가져오는 자료구조 입니다. LIFO(Last In First Out) 방식으로, 가장 마지막으로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형태입니다. 동작 원리 스택은 내부적으로 배열이나 연결리스트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여기서는 배열을 이용해서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

[자료구조] C로 Queue 만들기

Queue? 큐는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입니다. LIFO방식의 스택과 정확히 반대의 개념입니다. 동작 원리 큐는 내부적으로 배열이나 연결리스트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여기서는 연결리스트를 이용해서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자세한 동작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