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A2 blog
취소

[자료구조] C로 동적배열 만들기

소프트마에스트로 면접때 옆 사람에게 자료구조에 대한 질문이 들어왔습니다. 그때 면접관님꼐서 질문 하시면서 덧붙인 말씀이 생각 생각납니다. 비전공자라 기초를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하고싶어서 물어봤어요. 만약 그때 그 질문이 전공자인 저에게 왔다면 저는 “기초적인” 대답을 하지 못하고, 결국 면접에서 탈락했을 겁니다. 그때 문득 파이썬, 자바, ...

[OSM] OSM(Open Street Map) 데이터로 지도 및 길찾기 서비스 구현하기

개요 서비스를 개발하다보면 길을 찾아주거나, 지도를 보여주는 등 지도와 관련된 기능이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규모가 작은 개발자는 지도라는 단어만 봐도 막막하죠.. 직접 구현하자니 지도 데이터를 구할 방법은 모르겠고, 구글, 네이버와 같은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자니 요청당 요금이 부과되거나 일일 사용량 제한이 있는등 여러 어려움이...

[후기] 2022 Naver Ai Rush 참가 후기

2021년에 참여했던 Ai Rush에서 배운것도 많고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해서 2022년도에도 다시한번 지원하고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2021년 대회 후기가 궁금하다면 [후기] 2021 Naver Ai Rush 참가 후기를 참고해주세요. 대회 소개 대회 진행은 2021년과 똑같이 진행됐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본선이 7월부터 8월 말까지 진행되었습...

[Python] 좌표를 행정동 주소로 바꾸기

개요 서비스를 개발하다 보면 역지오코딩 또는 리버스지오코딩이라고 불리는 좌표를 주소, 지역 등 텍스트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네이버, 구글, 카카오 등 많은 기업에서 관련 api를 제공하고 있지만, 무료인 대신 사용량 제한이 있거나 건당 유료인 경우도 있습니다. 필요한 목적에 따라서 제한에 걸리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수십만개의 데...

[C] typedef란 무엇일까?

typedef란? typedef는 자료형의 별명을 만들어주는 기능입니다. typedef 사용법 typedef라는 키워드를 맨 앞에 쓰고, 별명을 붙이고자 하는 자료형, 별명 순으로 쓰면 됩니다. typedef int INT typedef char name 자료형에게 별명을 붙여준다는 특징 때문에 구조체에 많이 활용합니다. 구조체에 활용하게 ...

[C] 구조체란 무엇일까?

구조체란? 구조체는 타입이 다른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버리는 방법입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여러 자료형을 사용할 때가 있는데, 이때 사용하면 변수들을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람을 표현하는 방법 //방법 1 따로따로 변수 선언하기 char[100] name; int age; int height; float weight; //...

[C] 포인터란 무엇일까?

포인터란? 포인터란 변수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의 주소를 포인터 라고 합니다. 포인터 변수 라고도 부릅니다. 포인터 사용 방법 포인터의 연산자 포인터는 크게 두 가지의 연산자가 존재합니다. & 주소 연산자 변수의 주소를 가져오는 연산자 입니다. * 참조 연산자 포인터가 가지고 있는 메모리 주소에서 변수 값을 가져오는 연산자 입...

[React] React의 기본 구조

React의 구조 node_modules npm 패키지들이 설치되는 공간 public static 파일들을 저장하는 공간 src 리엑트를 구성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 package.json 프로젝트에 설치된 패키지들을 명시하는 파일 "dependencies": { "@testing-librar...

[후기] 2021 Naver Ai Rush 참가 후기

2021년 4월부터 6월 말 까지 진행한 Naver Ai Rush 후기입니다. 대회 소개 네이버에서 주최하는 모델링 대회입니다. 총 2라운드로 진행되며, 각 라운드마다 주어지는 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과제 해결을 위한 모델을 학습합니다. 학습한 모델을 평가하여 순위를 매기고, 1라운드 탈락자, 2라운드 진출자, 최종 우승자를 결정합니다. 특징...

[ORM] ORM 정리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 객체와 관계형 DB를 자동으로 매핑해 주는것. SQL 쿼리문 없어 DB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해줌. SLECT * FROM User u WHERE u.first_name='kim' User.objects.filter(first_name='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