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A2 blog
취소

[선형대수] 생성집합

생성집합 \(V\)의 벡터 \(w\)를 \(w = k_1 v_1 + k_2 v_2 + \cdots + k_n v_n\)으로 표현할 때, \(w\)를 \(V\) 내 벡터 \(v_1, v_2, \cdots v_n\)의 선형 결합 또는 일차 결합이라고 한다. 이때 \(S={w_1, w_2, \cdots w_n}이 벡터 공간\)V$$내 공집합이 아닌 벡터...

[선형대수] 부분공간

부분공간 벡터공간 \(V\)의 부분집합 \(W\)가 \(V\)에서 정의된 덧셈과 스칼라 곱셈에 대해 만족해서 백터공간이 될 때, \(W\)를 \(V\)의 부분공간(subspace)라고 한다. 벡터공간임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10가지의 공리를 만족함을 증명해야 하지만, 부분집합은 대부분의 공리가 상속되므로 아래 4가지의 공리만 만족함을 증명하면 된다....

[ML] 합성곱 신경망(CNN)이란 무엇일까?

개요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은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여 학습하기 위해 고안된 알고리즘 입니다. 일반적인 이미지는 각 채널별로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고있습니다. 예를들어 가로와 세로 픽셀 개수가 600인 RGB채널의 이미지는 각 채널별로 600x600개의 픽셀이 존재합니다. 문제는 기존 다...

[선형대수] 실벡터 공간

벡터공간의 공리 \(u, v\)가 \(V\)의 개체이면 \(u + v\)도 \(V\)에 속한다. \[u + v = v + u\] \[(u + v) + w = u + (v + w)\] \(V\)의 모든 \(u\)에 대해서 \(u + 0 = 0 + u = u\)를 만족하는 개체 0이 \(V\)에 존재할 떄, 이를 \(V\)...

[선형대수] 외적

벡터의 외적 \(u = (u_1, u_2, u_3), v = (v_1, v_2, v_3)\) 일때, 외적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 \times v = (u_2 v_3 - u_3 v_2, u_3 v_1 - u_1 v_3, u_1 v_2 - u_2 v_1) = \begin{pmatrix} \begin{vmatrix} u_2 &am...

[선형대수] 선형계 기하학

\(R^2\)와 \(R^3\)에서의 직선의 백터방정식과 매개방정식 한 점 \(x_0\)와 직선에 평행한 0이 아닌 벡터 \(v\)가 있을때, 직선 위의 한 점 \(x\)와 \(x_0\)를 이용해 \(x - x_0\)로 벡터 \(v\)에 평행한 벡터를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x - x_0 = tv\)가 성립한다. 이는 \(x_0\)를 지나며 \...

[선형대수] 직교성

직교 벡터 \(\theta = cos^{-1}(\frac{u \cdot v}{\lVert u \rVert \lVert v \rVert})\) 에서 \(\theta = \frac{\pi}{2}\) (직각)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u \cdot v = 0\) 이다. 따라서 두 0이 아닌 \(n\)차원 벡터 \(u, v\)에 대해 \(u \cdot...

[QRCode] QR코드 생성 원리와 구현

캡스톤을 진행하며 QRCode에 대해 공부하고 기록하기 위한 글 입니다. QR코드 종류 Model 1과 Model 2 모델1이 가장 처음 만들어진 QR코드 모델2는 개량된 버전의 QR코드로, 현재 대부분의 QR코드에 해당. 두 모델을 저장 용량과 오류 정정 수준에서 차이가 있음 모델1은 최대 1167개의 숫자, 7...

[선형대수] 벡터 놈, 점곱, 거리

벡터의 놈 \(R^{n}\) 벡터의 놈은 \(\lVert v \rVert = \sqrt{v_1^{2} + v_2^{2} + \cdots + v_n^{2}}\) 이다. 벡터의 놈은 항상 다음 세가지를 만족한다. \(\lVert v \rVert \geq 0\) ㅤ \(\lVert v \rVert = 0\) 인 필요충분조건은 \(v = 0...

[선형대수] 유클리드 벡터공간 - 벡터

기하학적 벡터 물리공간에서 벡터를 표현할 때 화살표로 표현한다. 이때 화살표의 방향은 벡터의 방향, 화살표의 크기는 벡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벡터는 방향과 크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방향과 크기만 같으면 두 벡터는 같다. 백터가 시작되는 지점을 시점, 벡터가 끝나는 지점을 종점이라고 한다. 시점이 \(A\), 종점이 \(B\)인 벡터 \(v\)를...